오일러 표수라는 말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, 중학교 때 배웠던 다면체에서의 공식이다. V-E+F=2 말이다. 기존 동영상에서 설명을 했던 것인데, 이 자료에 대한 사진으로 설명 및 증명을 하겠다. 설명 V : 꼭지점의 수 E : 모서리의 수 F : 면의 수 평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에서는 V-E+F=2 가 성립한다. 그림에 설명이 있으니, 보고 이해하면 되겠다. 증명 꺾은 선을 보면 선과 점의 갯수 차이가 1개이다. 점과 선분을 차례대로 표시해보면 나오는 결과이다. 위 선을 링(ring) 처럼 만들면 갯수 차이가 없다. 이것도 위와 마찬가지로 점과 선에 번호를 매겨보면서 해보라. 옆에 선을 더 그려서 면을 하나 더 만들어 보자. 이것도 똑같이 다른 방식으로 번호를 매겨서 확인 해봐라. 이 때 오일러 표수를 알아보자. 오일러 표수의 이전과 차이가 없다. 갯수를 문자로 나타냈는데, 첫 번째로 나온 링(ring) 그림의 점,선, 면의 수를 노란색으로 표시했고, 추가된 링의 것의 수를 빨간색으로 표시했다. 결과는 그림을 보면 설명이 잘 되어있다. 면을 덕지덕지 붙이면 이런 식으로 될 것이다. 그림판으로 추하게 그렸는데, 컨셉이 이렇다라는 것이다. 저런 면을 점과 선, 면의 갯수 변화 없이 저런 바구니 형태로 만들 수 있다. 갯수 변화 없이 선을 늘렸다 줄였다 하면된다. 갯수를 파악하는 거니까 모양은 변해도 관계없다. 바구니에 뚜껑을 얹어놓으면 오일러 표수가 1에서 2가 된다. 뚜껑을 얹으니, 면이 하나 더 생기니까 F의 수가 하나 더 늘어나니까 표수도 당연히...
생년월일 : 1999년 11월 30일 키 : 163 cm 사이즈 : 88 - 60 -90 피부가 까무잡잡하게 타고난 건진 모르겠으나, 태닝하여 소위 갸루 컨셉으로 나오는 배우이다. 육감적인 몸에 갸루 컨셉이라 더욱 섹시해 보인다. 이번엔 이 배우의 이름으로 한자를 배워보겠다. 今 이제 : 금 いま : こん·きん 부수 : 人 / 사람 : 인 / ひと: じん·にん 이제라는 의미를 갖고 금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이다. 부수는 사람 : 인 이다. いま(이마) 가 일본어로 지금이란 뜻인 모양이다. こん(콘) ·きん(킨) 이 이 한자의 음이다. 키보드 한자 표기 순서 금 -> 한자 -> 1번 井 우물 : 정 い : しょう·せい 부수 : 二/ 두 : 이 / ふた·ふたつ : に 우물을 뜻하는 한자이며, 음은 정이다. 부수는 두 : 이 이다. い(이) 가 우물을 뜻하는 모양이다. 음은 しょう(쇼, 장모음)·せい(세, 장모음) 이다. 키보드 한자 표기 순서 정 -> 한자 -> '>>' 버튼 누르고 둘째 열 여덟 번째 행 夏 여름 : 하 なつ : か·げ 부수 : 夊 / 천천히 걸을 : 쇠 / 음독 すい(스이) 밖에 없음 여름을 뜻하고 하라는 음을 가진 한자이다. 천천히 걸을 : 쇠 라는 부수를 가졌다. なつ (나츠)가 여름을 일본식으로 표현한 것이며, か(카)·げ(케) 는 이 한자의 음이다. 키보드 한자 표기 순서 하 -> 한자 -> 3번 帆 돛 : 범 ほ : はん 부수 : 巾 / 수건 : 건 / きれ : きん 돛의 뜻을 ...
생년월일 : 1994 년 11월 30일 키 : 156 cm 사이즈 : 95 - 63 -110 요즘 활동을 열심히 하고 있는 배우인 듯하다. 오늘도 그녀의 작품을 감상하고 왔다. 뱃살은 있지만, 무지막지한 하체에 비하면 애교뱃살이라 볼 수 있겠다. 같은 뱃살이라도 하체나 엉덩이와의 비율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. 그래서 오늘 AV 한자교실의 첫 주인공으로 채택되었다. 일본도 한국과 같이 성을 앞에 쓰며, 제목의 영문 이름은 성을 뒤에썼음을 밝힌다. 이름은 일본 히라가나로 되어있으므로, 성에 있는 한자를 중점적으로 보겠다. 川 내 : 천 かわ : せん 부수 : 川 / 내:천 / かわ : せん 처음 글자는 위와 같이 내:천 이란 한자로, 뜻이 내이고, 음이 천이다. '내'라는게 냇가 이런 뜻이다. 부수는 자기 자신이 부수이다. 일본어로는 かわ(카와)가 뜻이고 せん(센)이 음이 되겠다. かわ(카와)가 냇가의 일본어 표현인 모양이다. PC 키보드로 표기 순서 천 -> 한자 -> 1번을 누르면 된다. 히라가나는 ㄸ-> 한자 카타카나는 ㅃ-> 한자 순서로 누르면 키보드로 표기할 수 있다. 原 언덕/근원 : 원 はら : げん 부수 : 厂 / 기슭 : 엄 / がんだれ : かん, げん , ごん 뜻은 한국어로는 언덕과 근원이란 뜻이 있다. 언덕의 뜻이 같이 있는 이유는 厂(굴바위, 기슭)에 있는 泉(샘)이면, 물의 근원이 언덕에 있으니 뜻이 같이 있는 것 같다. 글자가 '기슭 : 엄' 부수에 '샘:천'이 합친 형태이다. 일본어로는 はら(하라)가 뜻이고 げん(겐)이 음이다. はら (하라) 는 일본어로 들, 벌판을 뜻이 있다....
댓글
댓글 쓰기